• 카톡상담
  • 대한중앙블로그바로가기
  • 계약분쟁해결센터
  • 유튜브
  • 전화상담 070-4012-0512

분류5

헌법소송

분류6

완료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기간의 기산점

법령을 심판대상으로 하여 헌법소원을 제기할 경우,

헌법소원을 제기하여야 하는 청구기간의 제한이 있다고 하는데 그러한 제한이 있다면 그 청구기간의 기산점은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산정하여야 하는지 알고싶어요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이이이

등록일2017-01-12

조회수2,457

 

관리자

| 2017-01-12

추천하기0반대하기0댓글등록


안녕하세요


법률에 대한 헌법소원. 즉 법령소원은

법령의 시행과 동시에 기본권침해를 받은 자는 그 법령이 시행된 사실을 안 날로부터 60일(현행 90일) 이내에,

그 법령이 시행된 날로부터 180일(현행 1년) 이내에 청구하여야 할 것이나,
법령이 시행된 후에 비로소 그 법령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하여 기본권의 침해를 받게 된 경우에는
그 사유가 발생하였음을 안 날로부터 60일(현행 90일) 이내에,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80일(현행 1년) 이내에 청구하여야 합니다.


구체적인 기본권의 침해가 있기 전이라도
그 침해가 확실히 예상될 때에는 미리 헌법소원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여 국민의 기본권보장의 실효성을 높였습니다.

그리고 법령이 시행된 이후에 법령을 위반하여 행정관청으로부터 업무정지처분을 받은 경우 그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기간의 기산점에 관하여 판례는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은 법령이 시행된 후에 비로소 그 법령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하여 기본권의 침해를 받게 된 경우에는 그 사유가 발생하였음을 안 날로부터 60일(현행 90일) 이내에,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80일(현행 1년) 이내에 청구하여야 하는데, 법령을 위반하였다는 이유로 업무정지처분을 받았으므로 늦어도 이때는 이 사건 법령조항에 의하여 자신의 기본권이 침해되었음을 알았다고 할 것이고, 그때부터 60일(현행 90일) 이내에 헌법소원심판청구를 하였어야 한다.”라고 하였습니다.

법령이 종전에 허용하던 영업을 금지하는 규정을 신설하면서 부칙에서 유예기간을 둔 경우 그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기간의 기산점에 관하여는 “개정된 법령이 종전에 허용하던 영업을 금지하는 규정을 신설하면서 부칙에서 유예기간을 둔 경우에, 그 법령시행 전부터 영업을 하여 오던 사람은 그 법령 시행일에 이미 유예기간 이후부터는 영업을 할 수 없도록 기간을 제한 받은 것이므로 그 법령시행일에 부칙에 의한 유예기간과 관계없이 기본권의 침해를 받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상담자님의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상담은 홈페이지 내에 기재된 연락처를 통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변호사와의 실시간 상담을 통해 상담자님의 사안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름 : 비밀번호 : 스팸방지코드 :
번호분류상태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304아동학대

완료

27년 전의 강제추행 사건1

김○○

2017.08.0911
303기타

완료

점유이탈물횡령죄 또는 절도죄1

이종찬

2017.08.081,640
302기타

완료

점유이탈물횡령 문의1

임꺽정

2017.08.081,825
301소년보호

완료

청소년 성추행, 희롱 처벌정도가 어떻게 되나요1

조석근

2017.08.081,391
300기타

완료

택배 점유물이탈1

김화자

2017.08.072,047
299소년보호

완료

점유이탈물횡령죄 또는 절도죄1

강소라

2017.08.072,964
298소년보호

완료

강제전학 재심청구에 대해서...1

김소현

2017.08.071,417
297아동학대

완료

청소년 성매매 피해자1

박현숙

2017.08.041,855
296헌법소송

완료

헌법소원에 대해서1

최용수

2017.08.041,236
295소년보호

완료

절도...중학생...1

박시호

2017.08.021,346